티스토리 뷰

반응형

24년 5월부터 이제는 병원에 가실 때는 신분증을 꼭 지참하셔야 하는 번거로움이 생겼습니다. 다른 사람의 주민등록번호를 이용한 건강보험 사용을 없애기 위함이나 기존보다 절차가 하나 더 생기는 것이므로 불편함이라고 느낄 수 있는 부분입니다. 그래서 급하게 병원을 가시거나 신분증을 깜빡했을 때 핸드폰만 있으면 되게끔 정부 24어플, 모바일 건강보험증으로 모바일 신분증을 발급하는 과정을 알아보겠습니다.

 

 

1. 본인 확인 가능한 유형

ㄱ) 신분증

- 주민등록증

- 운전면허증

- 여권

- 국가보훈등록증

- 장애인 등록증

- 외국인 등록증

- 국내거소신고증

- 공공기관이 발행한 증명서 또는 서류 

 

ㄴ) 전자서명인증서

- PASS

- 네이버 인증서

- 카카오 인증서

ㄷ) 모바일 인증서

- 모바일 건강보험증

- 모바일 운전면허증

◈ 신분증 실물이 아닌 사진이나 화면 캡처한 것은 인정되지 않습니다.

 

2. 모바일 신분증 발급(정부 24, 모바일 건강보험증)

ㄱ) 모바일 건강보험증

- 가장 간단하고 시간 절약

- 핸드폰 앱스토어 / 구글플레이

- 모바일 건강보험증 -> 설치

- 약관 전체 동의 및 본인확인 및 비밀번호 입력(3분 정도 소요)

- 앱 하단 가운데 QR제출을 눌러서 필요시마다 병원에 보여주면 됩니다.

 

 

ㄴ) 정부24 앱

- 정부24 앱 설치 및 로그인

- 주민등록증 모바일 확인 서비스 터치

- 이름, 주민등록번호, 발급일자 입력

- 비밀번호(6자리) 또는 생체인증

◈ 실물 신분증을 가지고 다니는 게 가장 간편하기는 하지만 항상 지니고 다니는 핸드폰에 조치를 해놓는 것을 권유합니다.

3. 본인 확인 예외 유형

- 19세 미만 

- 동일 기관에서 본인 여부 확인 후 6개월 이내 진료

- 의사 처방전을 가지고 간 약국

- 진료 의뢰 및 회송 받는 경우

- 응급환자

- 중증 장애인, 장기요양자, 임산부 등(거동 불편자) 보건복지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경우

♣ 마무리 하며...

신분증을 깜빡하고 본인확인 예외 유형에 해당되지 않는다면 참 난감합니다. 일단 본인부담으로 전액 결제를 하고 14일 이내 본인확인을 하면 다시 건강보험적용을 받을 수는 있지만 번거로운 과정이 되고 불필요한 시간이 들어야 하므로 잊어버리기 전에 지금 바로 핸드폰에 발급받으시기 바랍니다. 

반응형
댓글
반응형